[에너지리포트] 2020년 이후의 수송용 연료유 전망
2019년 6월, 에너지 시장에 대한 분석 및 전망을 제공하는 S&P 글로벌 플래츠에서 2020년 이후의 수송용 연료유 전망을 다룬 Development in transportation fuels post 2020을 발간하였다. 본 콘텐츠는 해당 보고서를 대한석유협회에서 번역, 요약한 내용 중 일부이다.
아시아의 ‘보다 깨끗한 수송연료’로의 진전
아시아의 정제능력(refining capacity) 증설 : 중국, 인도 주도
- 중국 : 2019~2025년 기간 중 약 230만 b/d 증설 예정
- Hengli 석유화학 : 40만b/d(‘19.Q2)
- Zhejiang 석유화학 : 40만b/d(‘19.Q3. 1단계), 40만b/d(‘20년 이후, 2단계)
- Huajin Aramco 석유화학 : 30만b/d(‘24~‘25년)
- 인도 : 2030년까지 약 140만 b/d 증설 예정(구체적 시기는 미정)
- IOC’s Panipat : 20만b/d(‘24년), Reliance(Jamnagar) : 70만b/d(‘30년)
아시아 휘발유, 경유 품질기준 변화 로드맵
- 중국 : 2019년 1월 이후, China 6(Euro Ⅵ과 유사.주)의 전국 적용
- 인도 : 2020년 4월 이후, Euro Ⅵ 유사수준 적용
- 말레이시아
- 휘발유는 2020년 1월까지, Euro Ⅳ, RON 95 적용. 경유는 2020년 9월 1일까지 Euro Ⅴ 적용
- 2025년 9월 1일까지 Euro , RON 95 & RON 97
전 세계 경유 교역흐름 변화
아시아의 정유제품, 공급과잉 지속
- 북부 아시아의 경유 수출량 증가(중국 주도)
- 중동의 경유 수출량 증가(사우디, 쿠웨이트가 증가 주도)
- 미국의 경유 수출은 안정적. 다만, 유럽행 수출물량은 감소(경쟁 심화)
- 경유 생산업체는 IMO 2020에 따른 벙커유 부문의 높은 수요덕에 이익 향유
Related Posts
아시아 휘발유 물량은 신규 시장 개척 중
- 아시아 시장은 포화 상태(남미, 서부 아프리카 시장 개척 중)
수송연료(motor fuels) 시장에서 IMO 2020 영향
IMO 2020 수요충당을 위한 정유부문의 대응방안
- distillate(등·경유) 생산 극대화(Maximising)
- 수율 상향(+1%)
- 수소분해(HCR), 코커 가동률 상향
- 원유 처리량(보다 많은 distillate, 경질 가스분, 연료유) 상향
- LSFO(저황연료유) 생산 극대화(Maximising)
- 잔사유 탈황설비능력 극대화
- 벙커유용으로, FCC 가동/휘발유에서 저황 VGO로 대체
- 저황원유 분리
- HSFO(고황연료유) 생산 최소화(Minimising)
- 고도화 설비(예: 코킹)를 통한 연료유 분해 증대
- 연료유 pool 이동 : 점도 제한에서 ▶︎ 황함량 제한으로
- 非벙커유 사용 HSFO 판매 증대
- 수송 연료상의 IMO 2020 파급효과
- 선주들의 IMO 2020 대응옵션
- 기준 준수 연료(개방된 해역: 벙커유 황함량 0.5%, ECA 지역: 0.1%)
- 스크러버에 투자
- 듀얼 엔진(LNG 또는 액상연료 연소)에 투자
- 미준수 또는 면제방안 강구
- 선주들의 IMO 2020 대응옵션
- [관련글] [에너지리포트] IMO 2020 환경규제 시행에 따른 석유 시장 전망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