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피스 히어로 ]
책임감 바이러스가 퍼진다
‘나 아니면 안 돼’라는 생각으로 모든 일을 혼자 하는 사람. 이런 사람이 주인 의식이 투철한 만점 사원이라고? 혹시 지나친 책임감에 자기 무덤을 파고 있는 것은 아닐까?
CASE 1 팀장 아닌 팀장
조용히 있는 팀장님이 불만이다. ‘왜 일을 지시하지 않고 가만히 계시지? 무슨 생각을 하고 계신 거지? 이러다 뭔가 잘못되면 그 책임은 어쩌려고?’ 결국 내가 나서서 모든 것을 해야 한다. 비록 팀장은 아니지만, 웬만한 결정도 내가 먼저 해야 한다. ‘팀장님의 컨펌을 기다릴 여유는 나도, 회사도 없다’는 케이스.
팀은 혼자서 해결하지 못하는 일을 나눠서 진행하기 위해 존재한다. 책임감을 나누는 목적도 있다. 일 처리나 진행이 늦은 팀장이 답답하다고? 그 역시 나름대로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고민하고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팀장이 최종 결정권자라는 사실. 자기 역할을 잊고 하는 행동은 조직에서 더욱 튀어 보인다. 다른 사람의 미움을 살 수도 있다. 그래도 필요 없는 책임감에 시달린다면 생각을 바꾸자. ‘내가 아는 것이 전부’가 아닌 ‘내가 모르는 상황을 다른 사람이 알 수도 있고, 그것이 내게 도움이 된다’는 점을 끊임없이 생각하는 것이다. 사실 팀장은 오랫동안 뛰어난 성과를 거뒀고, 회사에 자신의 능력을 입증한 덕분에 그 자리에 있는 것이다. 팀장이 잘 모른다고, 일을 못 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대부분 자신의 오만과 편견에서 비롯한다. 그렇게 팀장을 무시하고 혼자 북 치고 장구 치고 해봤자 결과는 좋지 않고 힘은 힘대로 드는 상황이 생길 수도 있다. 결국 나누는 것이 성공을 위한 지름길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 것!
CASE 2 협업하지 못하는 직원
후배에게 맡기면 된다고 하는데, 불안해서 시키질 못하겠다. 시간은 좀 걸리지만 내 손으로 해야 속이 시원하다. 결국 후배가 해야 하는 일까지 모두 한다. 가끔은 작은 일 하나 마음 놓고 맡기지 못하는데 부하 직원이 왜 있어야 하나 궁금하다.
누군가의 책임감이 과도하게 커지면, 상대방의 책임감은 자연스럽게 줄어든다. 그리고 책임감을 잃은 한 명은 소외되기 마련이다. 직장에서는 서로 역량을 키워주고 ‘윈-윈’하는 관계가 되어야 하는데, 모든 것을 본인이 직접 해결해야 하는 사람과 함께 일을 하게 되면 동료나 부하 직원은 일에 대한 의욕마저 상실한다. 작은 일도 불안해하며 챙기는 상사와 함께 일하는 조직도 마찬가지. 결국 사람들은 ‘내가 해도 어차피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새로 할 텐데’라고 생각하며 업무 자체를 회피하게 되고, 자연스럽게 조직의 활력과 창의성이 떨어진다. 이런 경우 가장 필요한 것은 적절한 수준의 책임감이다. 이것은 능력과 조건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때 찾을 수 있다. 자신의 수준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려는 자세도 필요하다. 후배가 해도 되는 일을 굳이 내가 붙잡고 야근하는 것보다, 근무 시간 내에 내가 할 수 있는 업무 먼저 해결하자. 업무의 우선순위도 중요하다. 협업 중 남은 부분은 부하직원에게 맡겨도 괜찮다. 잘못된 것이 있으면 나중에 수정하면 된다. 동료를 믿어라. 그게 시간도 절약하는 방법이다.
CASE 3 가이드와 동료 사이
동료들과 여행을 계획한다. 총무를 맡았다. 여행 계획도 짜고 있다. 여행 중 아침이면 조식을 먹기 위해 동료들을 모두 깨운다. 가만히 있을 수가 없다. 그런데 내가 왜 여행 가이드나 엄마처럼 동료들의 일거수일투족까지 모두 챙기고 있는 거지?
단체 활동을 할 때는 모두가 균등하게 역할과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 누군가 한두 명이 주도적으로 일을 진행할 때는 처음엔 모든 일을 알아서 처리하는 동료를 고맙게 생각하더라도, 얼마 지나지 않아 불만을 드러낼 수 있기 때문이다. “아침 안 먹어도 괜찮아” “나는 거기 가기 싫어”라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다. ‘나 아니면 안 된다’ ‘내가 모든 일을 해결하고 직접 확인해야 한다’는 생각 자체가 과잉 주도성에서 비롯한 잘못된 생각이라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세상에 나만 잘난 줄 아는 동료에게 속내를 털어놓을 사람은 한 명도 없을 것이다.
CASE 4 완벽한 사람이 되고 싶은 꿈
결혼 후에도 회사 일을 핑계로 집안일에 소홀하고 싶진 않았다. 현모양처나 존경받는 가장. 직장과 가정 어느 것 하나 놓치고 싶지 않다. 회사일과 가정사 눈코 뜰새 없이 바쁘다.
도움을 요청해야 할 때 사람들은 무능력해 보일까봐 걱정한다. 무책임하다는 소리를 들을까 두려워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것을 솔직하고 여유로운 자세라고 생각하자. 사실 평소 자기 일을 남과 잘 나누지 못하는 사람은 가장 가까운 남편이나 부인, 친구에게도 도움을 요청하지 못한다. 도와달라 말하는 것도 연습이 필요한 이유다. 강박적인 책임감도 습관처럼 몸에 익은 것. 도움을 요청하고, 책임을 나누는 것도 습관처럼 몸에 익게끔 만들어야 한다. 어쩌면 당신이 혼자 애쓰는 것을 보며 주변 사람들이 ‘언제 내가 도울 수 있을까’ ‘어떻게 도와줘야 할까’ 호시탐탐 기회를 노리고 있을지도 모른다. 주변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자.
CASE 5 일을 놓지 못하는 당신
퇴근은 하는데 왠지 모르게 찝찝하다. 뭔가 덜 마친 듯한 기분이 든다. 약속이 있으니까, 퇴근 시간이 됐으니까 가방을 챙겨 사무실을 나서긴 하는데, 혹시 무슨 일이라도 생겼을까 스마트폰의 모바일 오피스에 들어가 자꾸 새로 고침을 누른다.
“괜찮아. 나는 할 수 있는 한 최선을 다했어.” 주문처럼 수시로 되새겨야 한다. 생각이 변하면 행동도 바뀐다. ‘내가 꼭 해야만 해’ ‘내가 짊어져야 해’라는 습관적인 강박관념도 느슨하게 만들 수 있다. 직장 동료들과 자주 대화를 나누며 업무를 분담하고, 서로가 맡고 있는 일에 균형을 찾을 필요도 있다. 회사 업무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니다. 유관 부서와 함께 일을 한다. 가끔은 유관 부서 때문에 미리 잡힌 약속에 나가지 못하고 일을 해야 할 때도 있다. 그러니, 퇴근할 수 있을 때는 무의미하게 시간을 보내는 것보다 바로 퇴근하는 것이 좋다. 항상 100퍼센트 힘을 발휘할 수는 없으니까. 협동은 혼자 할 때보다 더 좋은 결과를 내고, 고생을 나눠야 하는 상황에서도 큰 보람을 안긴다. 결과가 실패로 이어지더라도 절망할 필요가 없다. 책임도 나눌 수 있으니까. 각자 담당한 업무에 대해서 책임을 지면 된다. 그러니까 가끔은 과감할 필요가 있다. 조직은 혼자 이끌어가는 것이 아니다.
직장생활에 책임감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다. 자신이 맡은 업무에 책임감이 없다면, 그는 조직에서 필요 없는 사람일 것이다. 하지만 그 책임감의 정도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고 생산성 높은 직장생활에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잊지 말자.